카테고리 없음

스테이블코인 순위 Top 5 는?

solife 2025. 7. 29. 15:24
반응형

2025년 7월 현재 글로벌 스테이블코인 시장 전체 규모가 $250 billion 이상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현재를 기준으로 스테이블코인 탑 5 순위를 시장가치 중심으로 분석하고, 각 코인의 특징·리스크·선택 팁을 정리했습니다.

스테이블코인 순위 Top 5 는?

 

가장 많이 쓰이는 스테이블코인 5종 소개

시장가치(시가총액) 기준으로 글로벌 스테이블코인 가운데 가장 큰 5개를 선정했습니다.

 

🥇 1. 테더 (USDT) – 독보적 1위

시가총액 약 159 Billion USD로 전체 스테이블코인의 약 60% 이상을 차지하는 압도적인 규모입니다. 전 세계 디지털 결제·거래 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코인이죠. 그러다보니 유동성유동성 측면에서 정말 빠르고 안정적이에요. 그러나 투명성 논란이 종종 제기되고, 준비금 증명에 대한 우려도 있어요. 그래도 거래량과 사용 범위 면에서는 여전히 압도적입니다.

 

  • 시가총액 기준 최상위, 전 세계 디지털 결제·거래 시 가장 많이 사용
  • 단점: 발행사(테더사)에 대한 투명성 문제, 법적 리스크 존재
  • 장점: 유동성, 다양한 블록체인 호환성 (이더리움, 트론 등)

🥈 2. USD 코인 (USDC) – 규제·통명성 강점

시가총액은 약 63 Billion USD로, 테더 다음으로 큰 규모입니다. Circle(코인베이스 등)이 발행하며, 정기적인 외부 감사와 규제 준수가 특징이에요. 단점은 USDT보다 유동성과 거래소 지원이 다소 제한적이고, 일부 국가에서는 접근이 어려울 수 있어요.

  • 서클(Circle)과 코인베이스 공동 발행, 규제 준수 수준 높음
  • 장점: 외부 감사 보고서 정기 공개, 법적 안정성 확보
  • 단점: 테더에 비해 유동성 낮고, 거래소 상장 수가 적음

 

🥉 3. 다이 (DAI) – 탈중압형 대표 코인

시가총액 약 5.3–5.4 Billion USD이며, 이더리움 기반 MakerDAO가 운영하는 탈중앙형 스테이블코인입니다. 하지만 담보 자산의 변동성 리스크가 있고, 시스템 구조가 복잡해서 초보자에게는 다소 어려울 수 있습니다.

  • 탈중앙화 스테이블코인 대표,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
  • 장점: 중앙 발행사 없이 거버넌스로 운영, 투명성 높음
  • 단점: 담보 자산 가치 변동 리스크 존재, 복잡한 구조

4위. 에테나 USDe (USDe) – 기본 성장 중인 신흥 주자

시가총액 약 5.3–7.6 Billion USD 규모로, 최근 급격히 성장 중입니다. 알고리즘 기반 공급 조절 + 오버콜래트럴리제이션(과담보) 구조로 가격 안정성을 유지하고, 레이어2 기반으로 빠른 거래와 저수수료 장점이 있어요. 
새로운 형태라 아직 사용자 기반은 작지만, 성장 잠재력이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5위. First Digital USD (FDUSD) – 아시아 특화 규제형

시가총액 약 1.4–1.7 Billion USD 수준으로 탑5에 포함됩니다. First Digital이 관리하며 주요 대상으로 아시아 시장·규제환경을 최우선 고려해 설계했다고 합니다. 감사된 USD 준비금, 다수 거래소 연계, 특히 싱가포르·홍콩 중심의 사용자 유입이 많습니다

 

 

선정 기준은 무엇인가요?

  1. 시장가치(시가총액) 기준으로 글로벌 스테이블코인 가수 큰 5개를 선정했습니다. 최근 CoinMarketCap, CoinCodex, DefiLlama, Bankrate 등 주요 데이터에 따르면 USDT → USDC → DAI → USDe → FDUSD 순입니다
  2. 유동성 · 거래량 안정성과 사용 사례 고려
    – USDT는 글로벌 거래량 최강
    – USDC는 규제·투명성 신뢰 기반
    – DAI·USDe는 DeFi 활용 중심
    – FDUSD는 지역적 실사용 기반
  3. 투명성 · 규제 준수 여부
    – 감사보고서 공개 여부, 중앙화 vs 탈중앙화 구조, 준비금 공개 등 기준을 반영했어요.

 

 

순위 요약  쉽게 보기

 

 

 

 

마무리하며...

스테이블코인은 단순히 ‘달러 대응’이라는 개념을 넘어서, 유동성, 규제 투명성, 기술 구조, 지역 전략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안정성을 결정합니다. 이번 순위는 시장가치 중심으로 선정했지만, 개인적으로는 규제 투명성과 접근성 측면에서 USDC와 FDUSD도 눈여겨볼 만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탈중앙/스마트컨트랙트 기반 실험을 원하면 DAI, 미래 성장 가능성 중심이라면 USDe도 고려할 요소가 됩니다.

 

 

반응형